rhino 12

[라이노 그래스호퍼 벡터] 챕터 02. Position(위치) 벡터, Unit(단위) 벡터

(1) Position(위치) 벡터 앞선 포스트에서 벡터를 시각화하기 위한 조건으로, 시작점 (anchor point)가 필요하다고 했다. 위치 벡터는 이 시작점이 특별하게 원점 (0,0,0)인 벡터이다. 시작점이 원점인 게 왜 특별할까? 이유는 벡터의 X, Y, Z 방향의 구성 요소와 화살표가 향하는 도착점(Tip point)의 X, Y, Z 좌표가 같아지기 때문이다. 우리가 벡터의 시작점을 알때, 벡터 v의 방향과 크기로 향하는 도착점을 알 수 있다. 단순히 시작점의 좌표와 벡터 값을 더하면 되는데, 예를 들자면 이렇다. 위 이미지에서 (9,7,0)을 시작점으로 하는 벡터를 + 컴포넌트로 더한 좌표 (17,11,0) 은 벡터의 도착점이다. 그렇다면 위치 벡터는 어떨까? 마찬가지로 위치 벡터는 시작점인..

Grasshopper 2021.03.25

[라이노 그래스호퍼 벡터] 챕터 01. 3D 모델링에서의 벡터 소개

(1) 컴퓨테이셔널 모델링과 벡터 라이노라는 3d 모델링 툴은 사용자에게 직관적인 모델링 환경을 제공해주지만, 그래스호퍼는 사용자가 객체를 만들고, 제어하는 일에 일일이 간섭을 해야 한다. 이 간섭을 할 때 수학적으로 가장 필요한 개념이 바로 벡터이다. 벡터는 수학과 물리학에서도 중요하게 다뤄지는 개념이지만, 여기서 공부하고 정리하는 벡터는 철저하게 컴퓨터에 기반한 3d 모델링을 하는 상황에서의 벡터에 대한 개념이다. (2) 벡터는 왜 필요한가? 3D 모델링에서 벡터가 필요한 상황은 무수히 많지만, 그 중에서도 세 가지도 정도를 꼽자면 이렇다. 1. 내가 만든 객체의 방향을 알고 싶다. 예를 들어보자. 라이노에서 중요한 개념 중에 하나는 면이 향하는 방향이다. 모델링 도중 면의 방향이 생각한 것과 반대로..

Grasshopper 2021.03.24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