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이디버그 4

[LADYBUG] 라이노 그래스호퍼 - 일사량 Radiation 계산하기 2/3

1. 일사가 무엇인지, 2. 일사를 구하는 전반적인 레이디버그 컴포넌트 흐름에 대해 알아본 저번 포스트에 이어서 이번 포스트에서는 개별 컴포넌트에 대한 내용을 다뤄보도록 하겠다. (이전 포스트: https://ollykim.tistory.com/71) [LADYBUG] 라이노 그래스호퍼 - 일사량 Radiation 계산하기 1/2 epw 파일이 준비되었다면, 이제 실제 환경 시뮬레이션을 돌릴 차례이다. 레이디버그는 다양한 시뮬레이션을 돌릴 수 있는 컴포넌트를 제공하지만, 먼저 살펴볼 컴포넌트는 Incident radiation이라는 ollykim.tistory.com 3. 개별 컴포넌트의 이해 Chunk 1. Import EPW 그래스호퍼 내장 File path 컴포넌트에 Import EPW 파일을 물리..

Grasshopper 2021.06.01

[LADYBUG] 라이노 그래스호퍼 - 일사량 Radiation 계산하기 1/3

epw 파일이 준비되었다면, 이제 실제 환경 시뮬레이션을 돌릴 차례이다. 레이디버그는 다양한 시뮬레이션을 돌릴 수 있는 컴포넌트를 제공하지만, 먼저 살펴볼 컴포넌트는 Incident radiation이라는 컴포넌트로, 건물에 도달하는 일사량을 구할 수 있도록 해주는 컴포넌트이다. 분석되는 일사량 단위는 kWh/m²으로 건축물에 태양광 패널을 설치하는 경우 얼마만큼의 태양광 및 태양열 에너지를 활용할 수 있는지를 알 수 있도록 해주는 지표이기도 하다. 레이디버그를 이용해 일사량, 즉 Radiation을 계산하는 포스트는 아래와 같이 구성될 예정이다. 1. 일사란? 2. 전반적인 그래스호퍼 흐름 이해 3. 개별 컴포넌트의 이해 4. 결과 해석 1. 일사란? 일사란 지표의 어느 한 점에 도달한 태양이 방출하는..

Grasshopper 2021.05.26

[LADYBUG] 라이노 그래스호퍼 레이디버그 - 기상 데이터 epw 파일

(1) 레이디버그 필수 준비물, epw 파일 레이디버그를 이용해 환경 분석을 하기 위해서 필수적인 준비물이 있다. 이 준비물은 Energy Plus Weather data file이라고 불리는 .epw 파일이다. 파일 형식명이 낯설지만, 기본적으로 컴퓨터가 데이터를 읽을 수 있도록 쉼표(,) 그리고 행과 열로 데이터를 정리한 Comma separated Value(csv) 파일 형식의 일종이다. 다만 epw 파일에서는 특정 행과 열에 맞는 기상 관측 데이터가 정리되어야 하는 나름의 정해진 규칙이 있다. 아래 이미지가 epw 파일의 모습이다. 위 사진에서 확인할 수 있는 것처럼, 모든 epw 파일은 기상데이터를 관측한 곳의 기본적인 지리 정보(지역, 위도, 경도, 시간대, 고도)로 시작해서 세부적인 지리정..

Grasshopper 2021.05.23

[BIFE] 챕터 5. 파사드 엔지니어가 하는 일 1/2

지금까지 파사드의 정의부터 역사, 기능 그리고 파사드만을 전문적으로 다루는 파사드 엔지니어의 필요성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이번 챕터에서는 파사드 엔지니어가 하는 일을 구체적으로 짚어보겠습니다. 파사드 엔지니어가 하는 일은 크게 여섯 가지 - 환경 분석, 파사드 구조 계산, 열 계산, 패널 라이징, 디테일 디자인, 그리고 건물 유지 관리 유닛 설계( BMU) - 정도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파사드 엔지니어링 업무의 성격은 건축가의 영역과는 상이합니다. 건축가가 전체 건물의 그림을 그리고 각 분야를 조율하는 총 디렉터라면 파사드 엔지니어는 파사드와 관련된 디자인에서부터 기술적인 문제의 아주 세밀한 디테일까지 집중하여 문제를 해결합니다. 1. 파사드 엔지니어의 업무적 목표 모든 상황에서 파사드 엔지니어의 목..

BIFE/KOR ver. 2021.03.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