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IFE/KOR ver. 13

[BIFE] 챕터 7. 파사드 엔지니어링 회사

지금까지 파사드의 정의부터 역사, 기능, 파사드 엔지니어의 필요성, 하는 일, 그리고 실제 작업 흐름까지 살펴보았습니다. 파사드 엔지니어링이라는 국내에서는 많이 알려지지 않는 업무 분야를 전반적으로 소개하기 위한 목적이었기 때문에 얕은 수준에서 주제를 다루었습니다. 마지막 챕터 7에서는 위의 포스트들을 읽고 파사드 엔지니어링 분야에 대해 관심이 생기셨을 분들에게 해외의 잘 알려진 파사드 컨설팅 회사를 소개해보면 어떨까 합니다. (여기서 소개하는 파사드 컨설팅 회사는 주로 해외에 기반을 둔 회사이지만, 국내에 기반을 둔 컨설팅 회사도 있습니다.) 1. ARUP Arup 웹페이지 링크 2. BURO HAPPOLD BURO HAPPOLD 웹페이지 링크 3. Eckersley O'Callaghan Eckersl..

BIFE/KOR ver. 2021.03.21

[BIFE] 챕터 6. 파사드 엔지니어의 작업 흐름표

챕터 5에서 파사드 엔지니어가 어떤 일을 하는지에 대해서 알아보았다면, 그 작업들이 건축 실무에서 어떤 흐름으로 적용이 되는지도 파사드 엔지니어링을 이해하기 위해서 중요한 정보입니다. 아래 이미지는 실제 주니어 파사드 엔지니어로서 근무하면서 이해한 파사드 엔지니어링의 작업 흐름표입니다. 파사드 엔지니어링 작업은 설계 단계(Concept, SD, DD, TD, CD)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습니다. 1. 컨셉 단계 컨셉 단계에서는 건축가의 디자인과 주변 환경에 대한 분석을 진행합니다. 두 분석 결과를 토대로 파사드 엔지니어의 디자인 컨셉을 건축가에게 제안합니다. 2. SD 단계 기본 설계에서 파사드 엔지니어는 파사드를 패널링합니다. 이와 함께 파사드에 작용하는 하중을 계산하여, 설계한 패널의 크기나 두께 등..

BIFE/KOR ver. 2021.03.21

[BIFE] 챕터 5. 파사드 엔지니어가 하는 일 2/2

파사드 엔지니어가 하는 일 대표적인 여섯가지 (4) 패널라이징 패널라이징은 건물의 전체 파사드 면을 단위 재료로 구획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부연하자면 재료가 가공될 수 있는 크기 로 건물을 감싸는 전체 면을 나누는 것입니다. 건물의 형태가 단순하다면 복잡하지 않은 작업일 수 있지만, 건물의 기하가 복잡해질 경우 패널라이징 작업 자체만으로도 파사드 엔지니어의 단일 업무 영역이 됩니다. 파사드 엔지니어는 건축가가 디자인한 건물의 형태에서 가장 효율적이고 합리적으로 건물의 파사드를 구획하면서도 어떻게 하면 적은 패널의 종류로 가장 자연스러운 파사드를 연출 할 수 있을지 연구합니다. 패널링이 완료되면 패널링 된 패널들의 재료, 크기와 같은 자재 정보들이 자동으로 엑셀에 정리되어 재료 발주에 이용됩니다. 패널링을..

BIFE/KOR ver. 2021.03.21

[BIFE] 챕터 5. 파사드 엔지니어가 하는 일 1/2

지금까지 파사드의 정의부터 역사, 기능 그리고 파사드만을 전문적으로 다루는 파사드 엔지니어의 필요성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이번 챕터에서는 파사드 엔지니어가 하는 일을 구체적으로 짚어보겠습니다. 파사드 엔지니어가 하는 일은 크게 여섯 가지 - 환경 분석, 파사드 구조 계산, 열 계산, 패널 라이징, 디테일 디자인, 그리고 건물 유지 관리 유닛 설계( BMU) - 정도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파사드 엔지니어링 업무의 성격은 건축가의 영역과는 상이합니다. 건축가가 전체 건물의 그림을 그리고 각 분야를 조율하는 총 디렉터라면 파사드 엔지니어는 파사드와 관련된 디자인에서부터 기술적인 문제의 아주 세밀한 디테일까지 집중하여 문제를 해결합니다. 1. 파사드 엔지니어의 업무적 목표 모든 상황에서 파사드 엔지니어의 목..

BIFE/KOR ver. 2021.03.21

[BIFE] 챕터 4. 왜 파사드 엔지니어링이 필요한가? 2/2

3. 스페셜리스트 건물은 이제 사람들의 생활과 행동을 담는 공간만이 아닙 니다. 수많은 설비와 시설들이 빼곡하게 조직되어 있는 거대한 기계 혹은 컴퓨터라고 보아야 더 옳을지도 모릅니다. 이런 거대한 컴퓨터를 만들기 위해서는 수많은 세부 분야의 협업이 필요합니다. (1) 상하수도, 기계 설비들의 총 집합 건물에 물을 공급하고, 수거하는 상하수도 시스템과 기계 환기, 냉난방기를 가동하는 거대한 기계 설비들을 설계하는 설비 분야는 건물을 이루는 데 가장 기본적이면서도 필수적인 영역입니다. (2) 촘촘하게 계획된 전기, 통신 설비 전기와 통신 설비는 현대 건물에서 중요한 위상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빼곡하게 설치된 전선들과 통신선들은 모두 전기 및 통신설비 팀에서 담당, 설계 및 설치합니다. (3) 건물의 뼈대,..

BIFE/KOR ver. 2021.03.21

[BIFE] 챕터 4. 왜 파사드 엔지니어링이 필요한가? 1/2

1. 기능의 집중 왜 파사드 엔지니어링이라는 특수한 분야가 필요할까요? 파사드 엔지니어링은 외부 환경과 직접적으로 맞닿는 부위로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합니다. 기능이 집중되어 있다 보니 파사드의 구조, 환경 등 다각도에서의 공학적인 이해가 필수적입 니다. 결과적으로 파사드는 보기와는 다르게 상당히 복잡한 구성을 띠게 되는 것이지요. 파사드 디테일 도면들의 복잡성 은 파사드 엔지니어들의 파사드 기능에 대한 고민을 반영한 결과입니다. 가장 대표적인 예시로 창호의 프레임을 들어보겠습니다. 창호라고 하면 주위에 있는 유리창을 떠올리면 됩니다. 한가운 데에 유리가 있고, 그 유리를 감싸고 있는 프레임이 있습니다. 이 프레임의 재료에 따라 창호를 두 가지로 나눠볼 텐데 요, 하나는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진 알루미늄 창호..

BIFE/KOR ver. 2021.03.19

[BIFE] 챕터 3. 파사드의 기능

1. 외부 환경으로부터의 보호 파사드는 외부 환경과 건물이 만나는 가장 첫 번째 막입니다. 외부 환경으로부터의 보호는 건축 행위의 본질과 연관되는 가장 기본적인 필요조건입니다. 인류가 건축하게 된 근본적인 이유는 험한 외부 환경으로부터 자신을 지키기 위함입니다. (1) 열의 획득과 손실 그럼 파사드는 어떤 외부 환경으로부터 내실자를 보호할까요? 첫 번째는 열과 관련된 문제로 바로 더위와 추위입니다. 실외가 아무리 덥거나 춥다고 해도, 실내 온도는 쾌적한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해야 합니다. 즉 파사드는 열의 손실이나 획득을 최소화하여 외부 환경이 시시각각 변한다고 하더라도 이에 대한 반응을 줄여햐 합니다. (2) 기밀과 수밀 파사드가 외부로부터 내실자를 보호해야 하는 두 번째 항목은 비, 바람입니다. 길을 ..

BIFE/KOR ver. 2021.03.18

[BIFE] 챕터 2. 파사드의 역사 4/4

(4) 커튼월 1. 새로운 재료의 등장 커튼월 건물의 등장은 19세기 강철의 대량생산이 가능해지면서부터입니다. 이후 강철은 새로운 건축재료로서 급부상합니다. 이 시기 만들어진 유명한 건축물로 에펠탑(1889)이 있습니다. 초창기 에펠탑에 대한 반대는 어마무시했지만, 이제 에펠탑은 철이라는 새로운 건축 재료의 가능성을 시험하고, 새로운 재료가 여는 시대를 알리는 상징이 되었습니다. 2. 가볍고 튼튼한 재료, 철 철은 단단한 돌에 비해 강도는 약 여덟 배 강하고 무게는 훨씬 가볍습니다. 따라서 적은 재료로 건물의 하중을 효과 적으로 견딜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건물의 무게는 가벼워질 수 있었습니다. 석조 건축을 하던 시대에 건물을 높게 지을 수 없었던 이유는 건물 자체의 무게 때문입니다. 석재로 그렇게 높게..

BIFE/KOR ver. 2021.03.17

[BIFE] 챕터 2. 파사드의 역사 3/4

(3) 기둥-보 시스템 1. 가구식 건축 시스템의 기본 구조 단위 조적식 건축술의 기원은 바로 재료에 있었죠. 가구식 건축 술도 마찬가지입니다. 가구식 건축술이 발달한 지역에서는 목재를 건축 재료로 많이 사용했습니다. 바로 우리나라처럼 말이죠. 가구식 건축술에서는 두 가지 기본 구조 요소가 있습니다. 하나는 기둥, 다른 하나는 보입니다. 기둥은 모두에게 익숙 한 개념일 겁니다. 그렇다면 보는 무엇일까요? 보는 기둥을 가로지르는 ‘수평재'입니다. 위 스케치를 보면 기둥 위에 보가 얹혀있죠. 이게 바로 가장 기본적인 가구식 건축술의 형태입니다. 2. 가구식 시스템의 구조적 특징 가구식 건물에서는 건물의 모든 하중을 기둥이 감당합니다. 기둥을 통해 전해져 내려온 하중은 슬라브(바닥 판)에서 분산이 되고, 다시..

BIFE/KOR ver. 2021.03.17

[BIFE] 챕터 2. 파사드의 역사 2/4

(2) 조적식 시스템 1. 조적식 시스템의 재료들 주변에서 아주 흔하게 볼 수 있고, 그래서 우리에게 익숙 한 건축 재료가 있습니다. 바로 벽돌인데요. 벽돌 건물은 대표적인 조적식 건축물입니다. (요즘에 지어진 높은 벽돌 건물들은 그 자체가 구조 역할은 하지 않는 치장 벽돌이기 때문에 조적식 건축물이라고 볼 수 없습니다) 벽돌과 또 유 사한 재료들을 생각해볼까요. 진흙 블록이나 무거운 돌덩이 들도 있습니다. 벽돌, 진흙 블록, 돌덩이. 이 재료들의 공통점을 찾아봅시다. 모두 "쌓기에" 최적화되어 있다는 생각이 들지 않나요? 벽돌집뿐만 아니라 무거운 돌들은 성벽을 쌓는 데도 이용되었습니다. 서울에는 조선 시대에 축조한 한양 성곽길이 복원되어 남아있죠. 한양 성곽도 마찬가지로 무거운 돌들을 하나씩 차곡차곡 ..

BIFE/KOR ver. 2021.03.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