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pw 파일이 준비되었다면, 이제 실제 환경 시뮬레이션을 돌릴 차례이다. 레이디버그는 다양한 시뮬레이션을 돌릴 수 있는 컴포넌트를 제공하지만, 먼저 살펴볼 컴포넌트는 Incident radiation이라는 컴포넌트로, 건물에 도달하는 일사량을 구할 수 있도록 해주는 컴포넌트이다.
분석되는 일사량 단위는 kWh/m²으로 건축물에 태양광 패널을 설치하는 경우 얼마만큼의 태양광 및 태양열 에너지를 활용할 수 있는지를 알 수 있도록 해주는 지표이기도 하다.
레이디버그를 이용해 일사량, 즉 Radiation을 계산하는 포스트는 아래와 같이 구성될 예정이다.
1. 일사란?
2. 전반적인 그래스호퍼 흐름 이해
3. 개별 컴포넌트의 이해
4. 결과 해석
1. 일사란?
일사란 지표의 어느 한 점에 도달한 태양이 방출하는 복사에너지로, 저장되어 열과 전기 같은 다른 형태의 유용한 에너지로 사용될 수 있다. 일사의 강도는 일사가 지표면에 입사하는 각도인 입사각과 대기 중의 수증기의 양과 같은 혼탁도, 지표면 조도 등과 같은 지표면의 성질에 따라서 달라진다. 일사의 강도를 측정하는 단위는 kWh/m²로 기준 면적에 대한 시간당 에너지로 나타낸다.
일사는 크게 직달 일사와 산란 일사로 나눌 수 있는데, 직달 일사는 직접적으로 태양 복사에너지가 수평면까지 도달하는 일사를 뜻하고, 산란 일사는 중간중간 산란되어 간접적으로 수평면에 도달하는 일사를 뜻한다.
2. 전반적인 그래스호퍼 흐름 이해
일사량을 시뮬레이션하는 그래스호퍼의 작업 흐름을 위 이미지와 같다. 복잡해 보이지만, 청크로 나눠보면 다섯 개의 단계만 거치면 된다. 각 단계와 순서는 아래와 같다.
Step 1. LB Import epw: epw 파일을 레이디버그에 불러오기
Step 2. LB Analysis Period: 분석할 기간 선정하기 각 기간은 (period, hoys, doys를 통해서 나타낼 수 있다.)
Step 3. LB Culmulative skymatrix: 누적된 천공 형성하기
Step 4. LB Incident Radiation: 일사 계산하기
Step 5. LB Legend Parameters: 계산 결과를 범례와 의도에 맞게끔 보여주기
'Grasshopper' 카테고리의 다른 글
[Grasshopper] Generating grid on a planar surface (0) | 2021.08.11 |
---|---|
[LADYBUG] 라이노 그래스호퍼 - 일사량 Radiation 계산하기 2/3 (3) | 2021.06.01 |
[LADYBUG] 라이노 그래스호퍼 레이디버그 - 기상 데이터 epw 파일 (3) | 2021.05.23 |
[LADYBUG] 라이노 그래스호퍼 레이디버그 - 환경분석 툴 레이디버그 소개 (0) | 2021.05.23 |
[라이노 그래스호퍼 벡터] 챕터 10. 파라메트릭 커브의 종류 (0) | 2021.04.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