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적식 2

[BIFE] 챕터 2. 파사드의 역사 2/4

(2) 조적식 시스템 1. 조적식 시스템의 재료들 주변에서 아주 흔하게 볼 수 있고, 그래서 우리에게 익숙 한 건축 재료가 있습니다. 바로 벽돌인데요. 벽돌 건물은 대표적인 조적식 건축물입니다. (요즘에 지어진 높은 벽돌 건물들은 그 자체가 구조 역할은 하지 않는 치장 벽돌이기 때문에 조적식 건축물이라고 볼 수 없습니다) 벽돌과 또 유 사한 재료들을 생각해볼까요. 진흙 블록이나 무거운 돌덩이 들도 있습니다. 벽돌, 진흙 블록, 돌덩이. 이 재료들의 공통점을 찾아봅시다. 모두 "쌓기에" 최적화되어 있다는 생각이 들지 않나요? 벽돌집뿐만 아니라 무거운 돌들은 성벽을 쌓는 데도 이용되었습니다. 서울에는 조선 시대에 축조한 한양 성곽길이 복원되어 남아있죠. 한양 성곽도 마찬가지로 무거운 돌들을 하나씩 차곡차곡 ..

BIFE/KOR ver. 2021.03.10

[BIFE] 챕터 2. 파사드의 역사 1/4

(1) 건축 구조 시스템의 역사 이번 챕터에서는 파사드의 역사를 다룹니다. 그러나 파사드의 역사는 건축 구조의 역사와 떨레야 뗄 수 없는 관계를 맺고 있습니다. 따라서 그 역사를 알기 위해 건축술, 즉 건물을 짓는 방법의 역사를 아주 얕게, 먼저 이야기해보려고 합니다.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건축술 또한 많은 발전을 거듭했습니다. 그러나 현재까지도 가장 기본이 되고, 오래전부터 동 서양을 막론하고 건축 구조의 근간을 이루는 두 가지 건축술이 있습니다. 그 두 건축술을 소개하고, 특징들을 다뤄보려고 합니다. 첫 번째는 조적식 건축, 두 번째는 가구식 건축입니다. 이렇게 대표적으로 건축술이 두 갈래로 나뉘게 된 데에는 건축 재료가 큰 영향을 끼쳤습니다. 건축술은 재료의 성질과 밀접한 관련이 있기 때문입니다. ..

BIFE/KOR ver. 2021.03.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