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계속도압 2

[FSCM KOR ver.] 파사드 구조 계산 매뉴얼 1.2 풍하중과 풍압계수

(1) 외장재설계용풍압계수 풍하중은 설계풍압에 풍압을 받는 유효수압면적을 곱한다. 설계풍압은 설계속도압에 외장재설계용풍압계수를 곱하여 구한다. 지난번 포스트에서는 설계풍압을 구하는 방법까지 살펴보았다. 오늘은 외장재설계용풍압계수를 구하는 내용을 다뤄보도록 한다. 기본적으로 설계풍압은 "관측된" 지역별 풍속 값에 건물이 지어진 지형적 상황을 반영하는 여러 안전율을 곱하는 방식으로 산정했다. 그런데 바람이란 파트 1에서 다룬 것처럼 멈춰져있는 정하중이 아닌 동하중이다. 동하중은 아무리 이전 데이터들을 토대로 예측을 해도, 예기치 못한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이렇게 관측된 풍속에서 나온 개념이 설계속도압이라면, 예기치 못한 상황을 대비하여 만든 개념이 풍압계수이다. (이 부분은 필자의 해석이다) 정리하자면,..

FSCM/KOR ver. 2021.04.13

[FSCM KOR ver.] 파사드 구조 계산 매뉴얼 1.1 풍하중과 설계속도압

들어가면서 하중을 구하는 일은 파사드 구조 계산에서 가장 첫 번째로 하는 작업이며 이어지는 모든 계산의 바탕이 되는 작업이다. 특히 파사드에서 절대적으로 중요한 하중은 풍하중이다. 파트 1에서도 얘기가 나왔었지만, 건물이 가볍고 높아지면서 풍하중 이슈가 대두된 것이다. 그렇다면 풍하중은 어떻게 구할 수 있을까? 오늘은 이에 대한 이야기를 해보려고 한다. (1) 코드로 구하는 풍하중 많은 하중과 마찬가지로, 풍하중도 코드에 의거해서 구한다. 여기서 말하는 코드란 building code, 즉 건축법규를 지칭한다. 한국의 경우에는 건축구조설계기준이라는 문서를 통해서 풍하중을 구하는 방법을 명시해두었다. 이 코드는 유럽과 미국 등 국가별로 기준이 다르기 때문에 다른 국가에서는 그에 맞는 계산 식을 사용해 구해..

FSCM/KOR ver. 2021.04.02